영화 인터스텔라를 보면 중력이 매우 큰 블랙홀 근처를 다녀온 아빠 쿠퍼가 딸 머피보다 젊은 상태로 재회하는 장면으로 끝납니다.저는 물리학 전공자이고, 당연히 제 친구들도 대부분 이과 출신입니다.그런데도 불구하고 인터스텔라를 본 친구들은"시간이 늘어나고 줄어들기도 하면 과거로의 시간여행도 가능한거 아냐?"라는 질문을 시작으로 혼돈의 카오스를 열곤 합니다.아무리 이과출신이래도 쓸모없는 녀석들이 존재한다능... 실제로 인터스텔라의 주인공인 쿠퍼도 이런 말을 하죠"어쩌면 운 좋게 블랙홀을 통과해서 과거로 돌아갈 수 있는 방법이 있지 않을까?" 무려 나사에서 일했을 정도로 실력있는 과학자인 쿠퍼조차 과거로의 시간여행이 가능하지 않을까 하는 망상을 할 정도로 상대성 이론은 사람을 엄청나게 헷갈리게 만드는 이론입니다..
Lectures/Mordern Physics
2017. 1. 25. 23:27
반응형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TAG
- 슈뢰딩거 방정식
- 연속방정식
- 상용로그표
- charge conservation
- continuity equation
- current density
- 거듭제곱
- 1차원 우물
- taylor series
- Oh My Girl
- 매클로린 급수
- 브이앱
- 지수법칙
- 댕댕콘
- 오마이걸
- 옴댕콘
- 인터스텔라
- step potential
- maclaurin's series
- quantum
- 오 마이 걸
- 확률 흐름
- probability flux
- 상자 속 입자
- infinite potential well
- schrodinger
- 전하보존
- 멱급수
- 시즌그라탕
- 계단형 퍼텐셜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글 보관함